주식 썸네일형 리스트형 국내 주식에 부과되는 세금은 ?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증권거래세 등 국내 주식을 할 때 부과되는 세금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바로 양도소득세, 증권거래세, 배당소득세 등이 있답니다. 오늘은 각각의 세금의 정의와 얼마큼 부과가 되는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목 차 1. 양도소득세 2. 배당소득세 3. 증권거래세 주식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란 주식을 양도할 때 생기는 이익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으로, 현재는 대주주에게만 매도 차익 발생 시 양도소득세가 발생하고 있음. 과세 범위: 대주주가 양도하거나 소액주주가 증권 시장 밖에서 양도하는 상장 주식 등 및 비상장주식 등 상장주식 양도세 과세대상 기준 개정 2023년까지는 종목당 보유 금액 10억 원 이상 (코스피 지분율 1%, 코스닥 2%, 코넥스 4%)인 대주주에게 양도소득세를 부과했지만, 2024년 올해부터는 종목당 보유 .. 더보기 코스피와 코스닥 뜻, 상장 조건, 시가총액 순위 확인 하는 법 안녕하세요~복댕이 맘입니다. 저는 2020년쯤에 주식에 관심을 조금 가지고 시작을 했었는데요. 공부도 없이 하다 보니 현재 아주 물려있답니다. 그래서 다시 공부를 해보자 싶은 마음에 블로그도 작성하고 종목도 하나씩 공부해보자 싶더라고요. 언제까지 작성을 할진 모르겠지만 일단 시작을 해볼까 합니다. 먼저 오늘은 주식의 기초인 코스피와 코스닥의 뜻과 차이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코스피 우리나라 대표증권시장인 유가증권시장은 1956년 개장 이래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포스코, 엘지 전자 등 세계적인 기업들이 상장되어 있으며 대형 우량기업들의 성장세를 바탕으로 시가총액 1,150조 원 규모의 시장을 견지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유가증권시장의 주가지수를 코스피지수, 유가증권시장을 코스피시장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 더보기 이전 1 다음